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28 [Network] IP주소란? 1) IP주소란? IP주소란 무엇일까요? 네트워크 환경에서 컴퓨터(노드)간 통신하기 위해 각 컴퓨터에 부여된 네트워크 상 주소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설명을 위해 우선 내 컴퓨터의 IP주소를 알아볼까요? 윈도우 검색창에 CMD를 치시고 명령프롬프트 창을 열어, ipconfig라는 명령어를 치면 아래와 같은 나의 IP정보가 나옵니다. IPv4주소가 곧 내 컴퓨터의 IP주소입니다. 192.168.1.2 이네요~여기서 네트워크 주소는 192.168.1 까지이고!! 2는 나만의 호스트 IP라고 합니다.(서브넷마스크, 기본게이트웨이는 이후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쉽게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경기도 의왕시 오전동 A아파트 103동 101호 라는 주소가 있습니다. 여기서 경기도 의왕시 오전동 A아파트 103동 까지가 네.. 2018. 11. 10. [Network] 서브넷마스크(Subnet Mask)란? *선행지식 2018/11/10 - [전공지식/Network] - [Network] IP주소란? 2018/11/11 - [전공지식/Network] - [Network] IP주소 클래스(A,B,C class)란? 1) 서브네팅이란? (Subnetting) 서브넷마스크를 알기 위해선 먼저 서브네팅 개념을 이해해야합니다. 서브네팅은 "네트워크 관리자가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자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한다는 것은 네트워크 영역과 호스트 영역을 분할 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네트워크적인 측면에서 말하자면, 너무 큰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은 네트워크 환경에서 패킷전송을 느리게하고 성능저하를 발생시킵니다. 따라서 네트워크를 쪼개서 통신 성능을 보장하는 것입니다... 2018. 11. 10. [운영체제] 디스크 스케줄링이란?(Disk Scheduling) 디스크 스케줄링이란?(Disk Scheduling)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데이터를 저장할때, 순차적으로 하드웨어 디스크에 저장하지 않는다. 그때 그때 필요에 따라 상황에 맞게! 데이터를 저장하기 때문에 데이터를 찾기 위해선, 산재되서 저장된 데이터를 찾아와야 한다. 이때, 어떻게 효율적으로 산재된 데이터를 액세스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과 방법을 디스크 스케줄링이라 한다. 디스크 스케줄링 목표 디스크 스케줄링은 디스크 스케줄러가 실행한다. 디스크 스케줄러는 몇가지 목표를 가지고 데이터를 액세스한다. 1. 하드 디스크 검색으로 낭비되는 시간을 최소화 2. 특정한 프로세스의 입출력 요청의 우선순위를 정함3. 디스크 대역을 실행중인 각 프로세스에 할당4. 정해진 기한까지 요청을 처리 디스크 스케줄링 종류 그럼 대.. 2018. 11. 5. [DataBase] 정규화(Normalization)_제3정규형(3NF: Third Normal Form) 이전 글 : 2018/10/31 - [프로그래밍/DataBase] - [DataBase] 정규화(Normalization)_제1정규형(1NF: First Normal Form)이전 글 : 2018/10/31 - [프로그래밍/DataBase] - [DataBase] 정규화(Normalization)_제2정규형(2NF: Second Normal Form) 3) 제3정규형(NF: Third Normal Form) 제 3정규형은, 제 1정규형, 제 2정규형을 만족하고, 이행적함수종속관계를 갖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이행적함수종속관계란?? 만약 A값을 알 때,B값을 알 수 있고 B값을 알 때 C값을 알 수 있으면 이를 이행적함수종속관계라고 합니다. A-> B, B->C 와 같은 관계라고 보시면 됩니다. 자 왼쪽에.. 2018. 10. 31.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5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