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전한 기독교 (1장 옳고 그름, 우주의 의미를 푸는 실마리)
1. 인간 본성의 법칙
사람들의 대부분의 행동은 사실 어떠한 기대에 의한 행동을 하거나, 만약 기대에 미치지 못한 행동을 했을때 그 기대라고 말하는 기준에 대해 왜 미치지 못했는지 해명하는 형태의 양식을 따릅니다.
즉, 사람들 행동 이면에는 어떠한 기준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 기준은 행동에 대하여 이 행동이 옳고 그른지에 대한 일종의 합의입니다
.
사람들은 이러한 옳고 그름에 대한 법칙 혹은 규칙을 ‘자연법’이라고 불렀습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이런 자연법을 보통 중력법칙이나 유전법칙, 화학법칙 등을 가르켰습니다 하지만 예전의 사상가들은 옳고 그름에 대한 법칙 즉 자연법이라고 부른것은 인간 본성의 법칙이라는 뜻에서 말하는 것이었습니다.
신체는 중력 법칙에 따를 것인지 말 것인지 선택할 수 없어도 인간은 ‘인간 본성의 법칙’에 따를 것인지 말 것인지 선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참고로 여기서 말하는 인간 본성의 법칙은 인류 전체에 대한 공통 양식을 뜻합니다. 또한, 지역마다, 문화마다, 나라마다 다른 것이 아닙니다. 쉬운 예를 들어, 2+2가 5가 될 수 있고 6이 될 수 있다고 말하는 것이 아닌 2+2는 4라는 명백한 진리에 대한 기준을 말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사람들은 이 명백한 진리 또는 규칙에 대해 누구나 인정하며 그 진리대로 행하는 것이 맞다는 마음을 품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자연법(올바른 인간 본성)을 지키는 이는 아무도 없습니다.
요약하면 지구 위에 사는 인간은 누구나 일정한 방식으로 행동해야 한다는 기묘한 생각을 갖고 있으며, 누구도 그 생각을 떨쳐 버리지 못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실 사람들은 그런 방식으로 행동하지 않습니다. 다시 말해, 그들은 자연법을 이미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을 어기고 있습니다.
2. 몇 가지 반론
"당신이 말하는 도덕률이란 사싱상 인간의 집단 본능에 불과한 것으로서, 다른 본능들처럼 발전한게 아닌가?" 라고 반론한다면,
여기서 필자는 본능 자체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필자는 본능 너머의 본능을 선택하는 또 다른 제3의 본능을 지휘하는 지휘자를 뜻합니다.
만약 위험한 상황에 처한 사람을 당신이 본다면 당신은 2가지 욕구를 느낄 것인데, 하나는 그 사람을 도우려는 욕구요. 다른 하나는 위험을 피하는 욕구입니다. 여기서 제3의 내면의 소리가 있는데, 위험을 무릅쓰고 도우려는 욕구를 북돋으라는 소리를 듣습니다. 처음 2가지 욕구를 단지 느끼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닌, 2가지 욕구 중 선택을 해야하는 상황에서 선택을 하게하는 기준과 목소리는 어디에서 온 것이며 필자는 그것에 대해 말하는 것입니다.
마치 어떤 키를 눌러야 하는지 지시하는 악보가 곧 피아노 건반 키 가운데 하나일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도덕률은 우리가 연주해야할 곡이라면, 본능은 단지 건반 키들에 불과합니다.
또 하나의 근거로 만약 인간의 마음속에 두가지 본능만 존재한다면, 그리고 그 두가지 본능이 서로 충돌하는 경우 반드시 강한 본능이 이길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도덕률을 가장 선명하게 의식하는 순간 보통 약한 본능 편을 들어야 할 것 같은 느낌을 받습니다. 물에 빠진 사람을 돕는 편보다는 자신의 안정을 도모하는 편을 더 바랄 것입니다. 그런데 그래도 그를 도와야 한다고 내면의 목소리는 외칩니다. 도덕률이 옳은 충동을 원래보다 더 강화시키기 위해 애쓰라고 할때가 종종 있는 것입니다. 즉, 한 본능이 다른 본능보다 강화시키려 드는 행위는 분명 본능에서 나오는 행동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본능 너머의 무언가가 말해주는 것이지요. 마치 키보드의 키가 다른 키보다 자기를 더 강하게 치라고 지시할 수 없듯이. 키 자체는 존재할 뿐 키가 의지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키보드를 치고하 하는 자유의지를 지닌 존재에게만 주어지는 특권입니다.
세번째로 도덕률이 단순히 본능 중 하나가 아님을 알 수 있는 것은 만약 도덕률이 본능 중 하나라면, 언제나 선하며 언제나 옳은 행동 규범에 일치하는 충동 하나를 우리의 내면에서 짚어 낼 수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어떤 본능이 항상 선하고, 어떤 본능은 항상 나쁘다 라고 말 할 수 없습니다. 상황에 따라 본능을 선택해야합니다. 즉 본능 자체는 나쁜 것이 원래 아닙니다. 피아노 건반에 옳은 키와 그른 키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모든 키는 옳게 눌리는 순간도 있고, 그르게 눌리는 순간도 있습니다. 도덕률은 본능들을 지휘하며 일종의 곡조(우리가 '선'이나 '옳은 행동' 이라고 부르는 곡조)를 만들어 내는 어떤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이런 도덕률은 교육을 통해 우리에게 주입된 사회적 관습에 불과한 것이 아닌가 라고 반론한다면, 이 점에도 오해가 있습니다.
구구단을 생각해보십시오. 우리는 모두 구구단을 배웠습니다. 그러나 사막에서 혼자 자란 아이는 구구단을 모를 것인데, 그렇다고 해서 구구단이 단지 인간의 관습, 즉 인간이 스스로 구성해낸 것으로서 인간이 원했다면 얼마든지 달리 만들 수도 있었다고 말할 수 있습니까? 그렇지 않습니다. 누누히 말했지만 이 도덕률은 관습에 의해 변하는 것이 아닙니다. 진리 그 자체라는 것입니다.진리는 변치 않는 것을 뜻합니다. 그리고 이 진리는 우주 어느곳에서든 모든 존재들에게 고나통하는 동일한 법칙입니다.
또한 도덕적인 기준의 차이를 내세워 애초부터 도덕법(=도덕률)이 없다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사실 도덕들간 차이를 인간이 알기 위해선 나의 마음속 하나의 기준이 자리잡고 있어야만 차이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차이를 안다는 것은 어떤 기준이 있다는 반증입니다. 즉, '기준'이 있어야 차이를 느낄 수 있습니다.
끝으로, 이런 절대적인 도덕률은 현대의 포스트모더니즘적 시대에 위협받고 있는 것 같습니다. 각 개인이 각자의 입맛대로 진리를 해석하고 자신의 입맛대로 기준을 정의 함으로써 각자가 개인화된 ‘신’으로써 세상을 살아가고자 합니다. 그리고 서로간 그 기준을 인정하는 형태를 취하는데 이것은 우주의 근간을 흔드는 행위인 것입니다. 모두가 기준(신)이 될 수 없습니다. 점심시간 각자 먹고 싶은 메뉴를 고르거나, 각자 취향대로 옷을 입는 것을 가지고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여기서 말하는 기준은 인간 존재 이유, 존재의 목적, 행위의 옳고 그름, 선과 악에 구별 등에 대한 원초적이고 본질적인 기준에 대해 대해 말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기준은 우주 전체에 살아 숨쉬는 모든 ‘생명’들에게 향하고 있습니다.